맨위로가기

EC 바이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C 바이아는 1931년 창단된 브라질의 축구 클럽으로, 브라질 북동부 지역에서 인기 있는 팀으로 성장했다. 1959년과 1988년 전국 리그인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에서 우승했으며, 2001년, 2002년, 2017년, 2021년에는 코파 노르데스치에서 우승했다. 캄페오나투 바이아누에서는 50번의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022년 시티 풋볼 그룹에 인수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C 바이아 - 아레나 폰치 노바
    아레나 폰치 노바는 브라질 사우바도르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이며, 1951년 개장한 이스타지우 옥타비우 망가베이라를 대체하기 위해 건설되어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14년 FIFA 월드컵, 2016년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 경기를 개최했다.
  • 바이아주의 축구단 - EC 비토리아
    EC 비토리아는 1899년 창단되어 크리켓에서 축구 클럽으로 전환, 캄페오나투 바이아누 30회 우승 및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B 우승을 달성한 브라질 바이아주 사우바도르 연고의 빨간색과 검은색을 상징색으로 하는 사자 마스코트의 축구 클럽이다.
  • 바이아주의 축구단 - SD 주아제이렌시
    SD 주아제이렌시는 2006년 창단된 브라질 축구 클럽으로, 2011년 캄페오나투 바이아누 2부 리그에서 우승했으며, 8,000명을 수용하는 아다우투 모라에스 시립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1931년 설립된 축구단 - 스타드 드 랭스
    1910년 창단된 프랑스 축구 클럽 스타드 드 랭스는 알베르 바토 감독 시절 레이몽 코파, 쥐스트 퐁텐 같은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하며 리그 1에서 6번 우승하고 유러피언컵에서 2번 준우승하는 전성기를 누렸으나, 재정난과 2부 리그 강등을 겪은 후 재건하여 현재는 윌 스틸 감독의 지도 아래 리그에서 경쟁하고 있다.
  • 1931년 설립된 축구단 - 그라나다 CF
    그라나다 CF는 1931년에 창단된 스페인의 축구 클럽으로, 1941-42 시즌에 라 리가에 처음 진출했으며, 2020-21 시즌에는 UEFA 유로파 리그 8강에 진출하기도 했다.
EC 바이아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클럽 명칭이스포르치 클루비 바이아
원어 명칭Esporte Clube Bahia
별칭트리콜로르
바이아ço (바이아와 강철의 합성어)
바에아
노르데스치 최대 (Maior do Nordeste)
강철 함대 (Esquadrão de aço)
창단일1931년 1월 1일
홈 경기장아레나 폰치 노바
수용 인원50,025명
소유주시티 풋볼 그룹 (90%)
회장에메르송 페레치
감독호제리우 세니
리그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캄페오나투 바이아누
현재 시즌2024년
공식 웹사이트이스포르치 클루비 바이아 공식 웹사이트
유니폼 정보
바이아 2024 홈 유니폼
바이아 2024 홈 유니폼
바이아 2024 원정 유니폼
바이아 2024 원정 유니폼
바이아 2024 써드 유니폼
바이아 2024 써드 유니폼
클럽 소유 정보
SAF 소유시티 풋볼 그룹 (90%)

2. 역사

1931년 아소시아상 아틀레치카 다 바이아와 클루비 바이아누 지 테니스의 축구 부문 선수들이 모여 EC 바이아를 창단했다.[1] 초대 회장은 와우데마르 코스타 박사였으며, 구단의 앰블럼은 하이문두 마갈량이스가 SC 코린치앙스 파울리스타의 엠블럼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하였다.[1] 창단 첫 시즌 바이아 주 대회 토르네이우 이니시우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1]

1959년 타사 브라지우(세리이 A의 전신)에서 우승하였고, 1961년1963년에는 같은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다.[1] 1980년대는 EC 바이아의 황금기로, 1988년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에서 우승하며 전국 대회 두 번째 타이틀을 획득했다.[1] 이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989에 참가하여 브라질 북동부 클럽으로는 처음으로 대륙 대회에 출전했다.[1]

1997년 역사상 처음으로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B로 강등되었다.[1] 2003년 세리이 A에서 좋지 않은 성적을 거두며 다시 세리이 B로 강등되었고, 2005년에는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C로 강등되었다.[1] 2007년 세리이 C에서 준우승을 기록하며 세리이 B로 승격했고, 바이아의 팬들은 이 시기를 "삼색의 불사조"(Fênix tricolorpt)라고 불렀다.[1]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세리이 A에 잔류했으나, 2014 시즌을 끝으로 세리이 B로 강등되었다.[2] 2016년 세리이 B 4위를 기록하며 세리이 A로 복귀했다.[2]

2022년 12월, 시티 풋볼 그룹(CFG)이 EC 바이아의 지분 과반수를 인수하는 안건이 클럽 회원 투표에서 98.6%의 찬성률로 통과되었다.[2][4] 2023년 5월, CFG가 공식적으로 클럽 주식의 90%를 인수하며 인수가 완료되었다.[4][5]

2. 1. 초창기 (1930년대 ~ 1970년대)

1931년 아소시아상 아틀레치카 다 바이아와 클루비 바이아누 지 테니스의 축구 부문 선수들이 모여 EC 바이아를 창단하였다. 창단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바이아는 브라질 북동부에서 가장 인기있는 축구단으로 거듭났다. 초대 회장은 와우데마르 코스타 박사였다. 구단의 앰블럼은 하이문두 마갈량이스가 제작했으며, SC 코린치앙스 파울리스타의 엠블럼에서 영감을 받아 바이아의 주기를 둥근 앰블럼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디자인하였다.

구단의 창단 모토는 ''이기기 위해 태어났다.''(Nasceu para Vencerpt)였다. 창단 첫 시즌 바이아 주 대회 토르네이우 이니시우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1959년에 타사 브라지우(세리이 A의 전신)에서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1961년1963년에는 같은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1959년 바이아 팀. 브라질 국립 문서 보관소


1959년부터 1963년까지, 그리고 1968년에 이 클럽은 타사 브라지우에서 바이아 주를 대표하여 1959년 우승, 1961년과 1963년 준우승을 차지했다.

2. 2. 황금기 (1980년대)

1980년대는 EC 바이아의 황금기였다. 1988년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에서 우승하며, 세리이 A 첫 우승이자 전국 대회 두 번째 타이틀을 획득했다.[1] 이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989에 참가하여 브라질 북동부 클럽으로는 처음으로 대륙 대회에 출전하여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1] 바이아는 조별 리그 1위로 토너먼트에 진출, 페루우니베르시타리오 데 데포르테스를 종합 3-2로 꺾고 8강에 진출했으나, SC 인테르나시오나우에게 패했다.[1]

1988년, 바이아는 브라질 선수권 대회에서 포르투 알레그리의 인테르나시오나우를 꺾고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3] 살바도르에서 열린 1차전에서 2-1로 승리했고, 포르투 알레그리의 베이라 리우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은 0-0 무승부였다.[3] 이로써 바이아는 두 번째 전국 타이틀인 ''브라질레이랑''에서 우승했고,[3]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세 번째로 출전할 자격을 얻었다.[3]

2. 3. 침체기 (1990년대 ~ 2000년대)

1997년 바이아는 EC 주벤투지와의 홈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한 후, 역사상 처음으로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B로 강등되었다.[1] 1999년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복귀를 노렸으나, 최종 3위를 기록하며 승격에 실패하였다.[1]

2000년 상파울루 FC, SC 인테르나시오나우 등 여러 축구단이 뇌물 수수 사건에 연루되면서, 플루미넨시 FC와 함께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로 복귀하였다.[1] 그러나 2002년 구단을 후원하던 은행이 파산하면서 EC 바이아는 빠르게 쇠퇴하기 시작했다.[1] 2001년2002년 코파 노르데스치에서 우승을 차지하였으나,[1] 2003년 세리이 A에서 좋지 않은 성적을 거두며 세리이 B로 다시 강등되었다.[1] 2004년 세리이 B 4위를 기록하며 승격을 노렸으나, 브라질리엔시 FC에 패하며 세리이 B에 잔류하였다.[1] 2005년 세리이 B에서 18위를 기록하며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C로 강등되었다.[1]

2. 4. 삼색의 불사조 (2000년대 ~ 현재)

2007년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C 준결승전 나시오나우 파스트 클루비와의 대결에서 샤를리스가 후반 막판에 결승골을 기록하며, 기적적으로 결승전에 올라섰다.[1] 최종적으로 준우승을 기록하며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B로 승격했다.[1] 바이아의 팬들은 이 시기를 "삼색의 불사조"(Fênix tricolorpt)라고 불렀다.[1] 2007년 EC 바이아는 3부 리그에서 활동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40,400명의 관중이 들어차는 등 팬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았다.[1]

2010 시즌부터 2014 시즌까지 세리이 A에 잔류했으나, 2014 시즌을 끝으로 세리이 B로 강등되었다.[2] 2016 시즌 세리이 B 4위를 기록하며, 세리이 A로 복귀했다.[2] 2012년 코파 수다메리카나에 참가하며 22년 만에 국제 대회에 복귀했다.[2] 2012년과 2014년, 2015년에 캄페오나투 바이아누에서 우승했으며, 2017년에는 코파 노르데스치에서 우승했다.[2]

2. 5. 시티 풋볼 그룹 인수 (2022년 ~ 현재)

2022년 12월, 아부다비 유나이티드 그룹의 자회사인 시티 풋볼 그룹(CFG)이 EC 바이아의 지분 과반수를 인수하는 안건이 클럽 회원 투표에서 98.6%의 찬성률로 통과되었다.[2][4] 2023년 5월, CFG가 공식적으로 클럽 주식의 90%를 인수하며 인수가 완료되었고, 기존 운영진은 남은 10%의 주식과 셔츠 색상 및 엠블럼을 포함한 클럽 유산 항목에 대한 모든 권리를 유지했다.[4][5][6] 바이아는 몬테비데오 시티 토르케와 모회사인 클루브 볼리바르에 이어 시티 풋볼 그룹에 합류한 13번째 축구 클럽이자 세 번째 남미 팀이 되었다.[4][6]

3. 상징

바이아의 팀 색상은 파란색, 빨간색, 흰색이다. 파란색은 아소시아상 아틀레치카 다 바이아에 대한 경의를 표하며, 흰색은 클루비 바이아노 지 테니스를, 빨간색은 바이아 주기를 나타낸다.[1] 구단의 마스코트는 "수페르-오멩 트리콜로르"(삼색 슈퍼맨)이며, DC 코믹스의 슈퍼맨에서 영감을 받았다.[1] 이 마스코트는 유명 만화가인 지랄두가 "에스콰드랑 지 아수"(강철 부대)라는 표현을 바탕으로 제작했으며, 팀의 색상을 공유하는 오리지널 슈퍼맨 의상과 매우 유사한 복장을 착용하고 있다.[1]

4. 경기장

바이아는 1951년 개장 이후 2007년 11월까지 폰치 노바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

바이아의 승격 캠페인 기간 중 빌라 노바와의 경기에서 경기장의 일부가 붕괴되었다. 이 사고로 7명이 사망하고 3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1]

이 사건 이후, 주 정부는 경기장을 철거하기로 결정했다. 2014년 FIFA 월드컵을 위해 그 자리에 새 경기장이 건설되었다.[1]

폰치 노바에서 열린 주요 경기는 다음과 같다.

경기대회연도
바이아 : 인테르나시오나우 2–1세리이 A 결승1988
바이아 : 플루미넨세 2–1세리이 A 준결승1988
바이아 : 플라멩구 4–1세리이 A2000
바이아 : 스포르트 헤시피 3–1노르데스테 컵 결승2001
바이아 : 파스트 클루비 1–0세리이 C 3단계2007



4월에 바이아는 아레나 폰치 노바로 복귀했다.[1]

5. 수상

EC 바이아는 여러 대회에서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했다.

전국 대회
대회우승시즌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21959, 1988
세리이 C0



지역 대회
대회우승시즌
코파 노르데스치42001, 2002, 2017, 2021
타사 노르치-노르데스치31959, 1961, 1963
토르네이우 두스 캄페옹이스 두 노르데스치11948



주 대회
대회우승시즌
캄페오나투 바이아누pt[1]501931, 1933, 1934, 1936, 1938 (I), 1940, 1944, 1945, 1947, 1948, 1949, 1950, 1952, 1954, 1956, 1958, 1959, 1960, 1961, 1962, 1967, 1970, 1971,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1, 1982, 1983, 1984, 1986, 1987, 1988, 1991, 1993, 1994, 1998, 1999, 2001, 2012, 2014, 2015, 2018, 2019, 2020, 2023
타사 이스타두 다 바이아pt[1]32000, 2002, 2007


5. 1. 국내 대회

세리이 A에서 2회 우승(1959, 1988)과 2회 준우승(1961, 1963)을 기록했다. 세리이 C에서는 2007년에 준우승했다.

전국
대회우승시즌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A21959, 1988
세리이 C0


5. 2. 지역 대회

코파 노르데스치에서 EC 바이아는 2001년, 2002년, 2017년, 2021년에 우승하여 총 4회 우승했으며, 이는 대회 최다 우승 기록이다.[1] 1997년, 1999년, 2015년에는 준우승했다.[1]

과거 타사 노르치-노르데스치에서는 1959년, 1961년, 1963년에 우승했고, 1960년, 1962년, 1968년에는 준우승했다.[1] 토르네이우 두스 캄페옹이스 두 노르데스치에서는 1948년에 우승했다.[1]

5. 3. 주 대회

캄페오나투 바이아누pt[1]

우승시즌
501931, 1933, 1934, 1936, 1938 (I), 1940, 1944, 1945, 1947, 1948, 1949, 1950, 1952, 1954, 1956, 1958, 1959, 1960, 1961, 1962, 1967, 1970, 1971,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1, 1982, 1983, 1984, 1986, 1987, 1988, 1991, 1993, 1994, 1998, 1999, 2001, 2012, 2014, 2015, 2018, 2019, 2020, 2023
준우승시즌
191941, 1955, 1957, 1963, 1964, 1969, 1972, 1985, 1989, 1992, 1997, 2000, 2004, 2005, 2007, 2008, 2009, 2010, 2013



타사 이스타두 다 바이아pt[1]

우승시즌
32000, 2002, 2007
준우승시즌
22004, 2006


6. 선수

EC 바이아에서 활약했던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선수국적포지션EC 바이아 재적 기간
시지마르BRApt1988
로돌포 로드리게스URUpt1992-1994
BRApt2000-2001
다니엘 아우베스BRApt2001-2002
에바우두BRApt2009
크라이톤BRApt2001
다닐루BRApt2002-2004
윌리앙스BRApt2015
주니뉴BRApt1996-1998
조르지뉴BRApt1999-2003
웨즐레이BRApt1995, 1999-2000, 2005
노나투BRApt1998-2003, 2007
마르쿠스BRApt2000
파비우 주니오르BRApt2008
리체리BRApt2009


6. 1. 현재 선수 명단



기준[9]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3DF산티아고 아리아스
14MF카를로스 데 페냐
16DF빅토르 쿠에스타
26MF니콜라스 아세베도
40DF시시뉴
GK다닐루 페르난데스
DF질베르투
DF가브리엘 자비에르
DF카누
MF헤젠데
MF장 루카스
FW아데미르
MF카울리
FW에베랄두
MF에베르통 리베이루
FW비엘
MF타시아누
FW루시아노 로드리게스
MF카이우 알렉상드르
MF야고 펠리페
FW하파엘 라탕
GK마르코스 펠리페
GK아드리엘
DF이아고
DF다비드 두아르테
FW루시아누 주바
DF마르셀루
MF시드니
FW후안 파블로
MF웬델
MF조타
FW치아구
MF호제르
DF앙드레


6. 2. 역대 유명 선수

선수국적포지션EC 바이아 재적 기간
시지마르BRApt1988
로돌포 로드리게스URUpt1992-1994
BRApt2000-2001
다니엘 아우베스BRApt2001-2002
에바우두BRApt2009
크라이톤BRApt2001
다닐루BRApt2002-2004
윌리앙스BRApt2015
주니뉴BRApt1996-1998
조르지뉴BRApt1999-2003
웨즐레이BRApt1995, 1999-2000, 2005
노나투BRApt1998-2003, 2007
마르쿠스BRApt2000
파비우 주니오르BRApt2008
리체리BRApt2009


7. 감독

EC 바이아의 감독직은 여러 축구 감독들이 거쳐간 자리이다. 1959년 카를루스 볼란테를 시작으로, 파울루 아마랄(1967–68), 마누엘 플레이타스 솔리치(1970–71), 실비우 피릴루(1972) 등이 감독을 역임했다.

에바리스투 데 마세도는 1973년에 처음 감독을 맡은 후, 1988-89년, 1998년, 2001년, 2003년까지 여러 차례 팀을 이끌었다. 제제 모레이라(1978–79), 아임오레 모레이라(1981–82)도 감독직을 수행했다.

조엘 산타나는 1994년, 1999년, 2011-12년, 2013년에 감독을 맡아 팀을 이끌었다. 줄리우 세자르 레알(1995), 제니뉴(1997), 칸딘유(1990-91, 2002-03) 등도 감독직을 거쳤다.

2003년에는 룰라 페레이라와 에디뉴가 짧은 기간 동안 감독을 맡았다. 2004년에는 바다웅이, 2005년에는 제티가 감독직을 수행했다.

이후 파울루 코멜리, 아르투르징유, 알렉산드레 갈루, 세르지우 게데스, 파울루 보나미구, 헤나투 가우초, 마르시우 아라우주, 호제리우 로렌수, 바그네르 베나지, 레네 시모에스, 파울루 호베르투 팔캉, 카이우 주니오르, 조르지뉴, 크리스토바웅 보르지스, 마르키뉴스 산투스, 지우송 클레이나, 샤를레스 파비앙, 세르지우 소아레스, 도리바, 구투 페레이라, 프레투 카사그란데, 파울루 세자르 카르페지아니, 엔데르송 모레이라, 호제르 마샤두, 마누 메네지스, 다두 카발칸티, 디에고 다보베, 에두아르두 바호카, 헤나투 파이바 등이 감독직을 역임했다.

2023년 9월부터는 호제리우 세니가 감독을 맡고 있다.

7. 1. 역대 감독

감독임기
아르투르 베르나르지스1994
조엘 산타나1994, 1999, 2011 ~ 2012, 2013
자이르 페헤이라1997
제니뉴1997
에바리스투 데 마세도1998, 2001, 2003
칸딘유2002 ~ 2003
룰라 페레이라2003, 2006
에디뉴2003
바다웅2004
제티2005
마우루 페르난데스2006
파울루 코멜리2007 ~ 2008, 2009
아르투르징유2008 ~ 2009
페르디난두 텍세이라2008
알렉산드레 갈루2008 ~ 2009
세르지우 게데스2009
파울루 보나미구2009
헤나투 가우슈2009 ~ 2010
마르시우 아라우주2010
호제리우 로렌수2010 ~ 2011
바그네르 베나지2011
헤네 시몽이스2011
파울루 호베르투 팔캉2012
카이우 주니오르2012
조르지뉴2012 ~ 2013, 2017
크리스토바웅 보르지스2013
마르키뉴스 산투스2013 ~ 2014
지우송 클레이나2014
샤를레스 파비앙2014, 2015
세르지우 소아레스2015
도리바2016
구투 페레이라2016 ~ 2017, 2017 ~ 2018, 2021 ~ 2022
프레투 카사그란데2017
파울루 세자르 카르페지아니2017
엔데르송 모레이라2018 ~ 2019, 2022
호제르 마샤두2019 ~ 2020
마누 메네지스2020
다두 카발칸티2020 ~ 2021
디에고 다보베2021
에두아르두 바호카2022
헤나투 파이바2023
호제리우 세니2023 ~


8. 리그 기록

시즌리그순위승점경기 수득점실점
2007세리에 C2위633218956231
2008세리에 B10위52381410144765
2009세리에 B12위5138149155253
2010세리에 B3위6538198116344
2011세리에 A14위46381113144349
2012세리에 A15위47381114133741
2013세리에 A12위48381212143745
2014세리에 A18위3738910193143
2015세리에 B9위58381513104841
2016세리에 B4위6338189115734
2017세리에 A12위50381311145048


8. 1. 전국 리그

시즌티어디비전순위코파 두 브라질
19681A16위
19691A11위
19701A11위
19711A11위
19721A13위
19731A17위
19741A20위
19751A25위
19761A8위
19771A11위
19781A7위
19791A50위
19801A26위
19811A16위
19821A14위
19831A21위
19841A27위
19851A12위
19861A5위
19871A11위
19881A1위
19891A18위8강
19901A4위8강
19911A13위
19921A18위16강
19931A17위
19941A7위16강
19951A17위16강
19961A22위1라운드
19971A23위2라운드
19982B18위16강
19992B3위8강
20001A14위16강
20011A8위16강
20021A19위8강
20031A24위16강
20042B3위
20052B18위1라운드
20063C6위1라운드
20073C2위16강
20082B10위1라운드
20092B12위2라운드
20102B3위2라운드
20111A14위16강
20121A15위8강
20131A12위2라운드
20141A18위3라운드
20152B9위3라운드
20162B4위2라운드
20171A12위2라운드
20181A11위8강
20191A11위8강
20201A14위1라운드
20211A18위16강
20222B3위16강
20231A16위8강



EC 바이아는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에서 40시즌,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B에서 10시즌,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C에서 2시즌을 보냈다.

시즌리그순위승점경기 수득점실점
2007세리에 C2위633218956231
2008세리에 B10위52381410144765
2009세리에 B12위5138149155253
2010세리에 B3위6538198116344
2011세리에 A14위46381113144349
2012세리에 A15위47381114133741
2013세리에 A12위48381212143745
2014세리에 A18위3738910193143
2015세리에 B9위58381513104841
2016세리에 B4위6338189115734
2017세리에 A12위50381311145048


참조

[1] 웹사이트 Emerson Ferretti http://www.esportecl[...] Esporte Clube Bahia 2017-12-23
[2] 웹사이트 Nota Oficial https://www.esportec[...] 2022-12-03
[3] 웹사이트 Sócios do Bahia aprovam a venda de 90% da SAF ao Grupo City https://ge.globo.com[...] 2022-12-03
[4] 웹사이트 Man City's parent group buys Brazilian side EC Bahia for £158m https://theathletic.[...] 2023-05-04
[5] 웹사이트 Agora é oficial! - Notícias Esporte Clube Bahia https://www.esportec[...] 2023-05-04
[6] 웹사이트 Bahia conclui venda da SAF para o City, e CEO garante: "Vai ser o segundo maior clube do grupo" https://ge.globo.com[...] 2023-05-04
[7] 웹사이트 How Bahia became the most progressive football club in Brazil http://www.theguardi[...] 2019-11-13
[8] 뉴스 Súmula do Ba-Vi confirma triunfo por 3 a 0 do Bahia sobre o Vitória https://www.uol.com.[...] 2018-02-19
[9] 웹사이트 Futebol - Elenco profissional https://www.esportec[...] E.C. Bahia
[10] 웹사이트 Comissão técnica https://www.esportec[...] EC Bahia 2023-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